Git commands(diff, stash)

 git diff branch_a branch_b

branch_a와 branch_b 의 차이를 터미널에 보여준다.

ex) git diff origin/master origin/feature_a



git stash

branch_a에서 작업을 하다가 다른 브랜치로 넘어가야 할 때

작업한 내용을 임시로 백업할 때 사용한다.


commit을 해도 되긴하지만, 

작업 도중인 중간 결과물을 commit 할 때에는 커밋 메시지도 뭐라고 넣을지 애매하고 

취소할 때 귀찮기 때문에 stash가 용이하다.


commit은 local에 변경 내용을 반영시키는 절차라서,

아직 반영 시킬 준비가 안 됐을 때 stash를 쓰면 용이하다. 



git stash list

백업된(stashed) 내용을 보여준다.



git stash apply stash@{0) (stash 이름으로 가져오기)

or

git stash apply 0  (stash 인덱스 번호로 가져오기)

stash된 내용을 다시 불러올 때 사용한다.

apply 뒤에 인자를 부여하지 않고 git stash apply만 입력하면 가장 최근의 stashed 백업을 가져온다.



git stash drop stash@{0}  (stash 이름으로 삭제)

or

git stash drop 0  (인덱스 번호로 삭제)

특정 stash를 삭제할 때 사용



git stash branch new_branch

stash된 내용으로 새로운 브랜치(new_branch)를 생성할 때 사용. 



<참고 링크>

https://backlog.com/git-tutorial/kr/

https://itholic.github.io/git-stash/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무진 면접 경험으로 정리하는 백엔드 (1) : 에듀 테크 기업 면접

노마드코더 개발자북클럽 Clean code TIL 6 : 6장. 객체와 자료구조

백엔드 개발자가 Djnago fullstack 사이드 프로젝트를하며 ( html, css, vanillaJS 그리고 JS프레임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