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페이앱으로 수수료 안내고 사용하기
K-패스 K패스 시스템은 지자체 50%, 정부 50%가 재원을 구성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대상에게 교통 요금 일부를 환급 해준다. 아무거나 발급받아 사용하면 카드를 사용하면서도 수수료를 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경우에 수수료를 내야하며 어떻게하면 수수료를 내지않고 교통 요금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지 정리했다. 선/후불 - 신용/체크 - 페이앱 or 실물카드 내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나는 후불 교통카드기능 이 있는 신용카드 를 삼성 페이 앱 에 등록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굵게 강조한 부분만 잘 살펴보면 내가 돈을 추가로 내며 사용해야 하는 지 알 수 있다. 삼성 페이는 페이 앱에 대한 수수료는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건 등록한 카드에 따라 다르다. (카드사 - 카드 종류(신용/체크) - 교통카드기능(후불/선불) ) 이건 페이먼트 운영사나 카드사 정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단순히 목록에 나타나지 않았다고해서 일반화 할 수는 없다. 페이앱에 굳이 등록하지 않고 K패스에만 등록해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편의를 위해 휴대폰을 교통카드로서 사용하고 싶다면, 그리고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수수료를 내기 싫다면 아래의 내용을 더 읽어볼 필요가 있다. 카드 등록하기(k패스) 사용자, 즉, 우리가 어디에 무엇을 등록하는 지만 보면 된다. 간략하게 그림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정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볼 필요 없다. 우선 발급받은 카드를 K 패스 시스템에 등록한다. 그래야 기록을 바탕으로 얼마를 환급받을 지 K패스에서 계산하여 환급받을 수 있다. 사실, 여기까지만 해도 카드를 쓰고, 환급 받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운송사도, 카드사도, K패스도 필요한 정보는 전부 알고 있다. 그러나 편의를 위해 카드를 페이 앱에 등록하여 휴대폰을 개찰구 단말에 찍어서 교통 요금을 납부하고 싶을 때에는 좀 더 절차가 필요하다. 카드 등록하기(삼성페이) 휴대폰이 교통 카드의 기능을 대신해야하므로 1. 휴대폰(e-sim) <-> 페이 앱 wi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