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bol 대 프레임
심볼 디지털 통신에서의 심볼 = 처리 단위 다양한 처리 동작(변조, 코딩, 전송, 검출)을 심볼 단위로 조작한다. 심볼 종류 소스 심볼 - 소스에서 출력 가능한 심볼 메세지 심볼 - 여러 비트들이 의미있게 그룹화 된 것 채널 심볼 - 열악한 채널 조건 극복을 위해 오류 검출/정정 코드가 삽입된 부호어 심볼 (= 채널 부호화 된 부호어 심볼) 전송 심볼 - 채널 심볼이 전송 채널에 맞게 디지털화되어 변조된 파형 심볼 - 이 파형은 디지털 신호 전송의 최소 단위이다. - 이 파형은 심볼 주기(=심볼 지속 시간) T를 갖는다. - 정현파/구형파 형태로 나타남. 심볼 특성 심볼표현 심볼 길이 - 심볼이 존재하는 시간 구간 심볼 전송속도 - 초당 전송되는 심볼 수 심볼 동기화 - 심볼의 동기화가 있어야 디지털 통신에서의 신뢰성이 보장됨. 심볼 에너지 - 심볼 존재 구간 동안에 함유된 에너지 - 디지털 통신시스템간 비교를 위한 신호 크기 단위 심볼 오류확률 심볼 매핑 - 통신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용량을 고려하여 원본 심볼 <=> 부호어 간 대응관계를 이용해 오류 검출, 오류 정정, 압축, 암호화 등의 수행. 심볼 검출 - 수신측에서 잡음이 섞인 신호를 받았을 때 최대한 원본 심볼로 판정하려는 행위. 프레임 데이터 통신에서의 프레임(=PDU) - 통상적으로 데이터 통신에서 프레임이라하면 데이터링크 계층(OSI Layer2)에서 정의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쓰이는 프레임을 따로 PDU라고 부른다. - 데이터 + 제어정보 - 각 계층의 프로토콜들에 의해 교환되고 운반되는 데이터 단위 - 프레이밍을 통해 전송의 시작-끝을 알리고 프레임 경계를 명확히해야한다. - 프레임 길이 - 프레임의 캡슐화 - 프레임 종류 - 프레임의 주소 디지털 통신의 TDM에서의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