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화 대 역다중화
신호 통신 및 전송 기술에서의 용어를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논리회로 분야에서도 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이라는 용어가 쓰임 )
다중화
Multiplexing, Mux
전송설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나의 회선/전송로를 분할하여
다수의 개별 독립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전송 매체에 여러 신호가 도달하지만
여러 신호가 하나의 신호로 결합된 형태로 도달한다.
다중화는
여러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다중화한 신호를 보낸다하면은
다중화를 거친, 하나의 신호로 결합된 신호를 전송매체로 보냄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다중화 방식에는 FDM, TDM이 있다.
역다중화
Demultiplexing, Demux
신호를 받는 수신 측에서
결합된 신호를 분리하는 과정.
여러 개의 출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분배기라고도 불림.
다중화기/역다중화기 모두 조합 논리회로로 구성되어있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역할
- 여러 사용자가 공평하게 주파수/시간(자원)을 공유한다.
- 하위 계층의 여러 신호들을 모아 상위 계층의 신호로 만든다.
- 다수의 채널을 하나의 전송로로 결합한다.
(여러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
- 다수의 채널을 하나의 전송로로 결합한다.
(여러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
출처
http://www.ktword.co.kr/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