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 AS, IGP, IGRP, EIGRP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 간 통신 방식을 규정하는 통신 규약.
다음 3가지 클래스가 IP 네트워크에 널리 사용된다.
- 링크 스테이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한
- 경로 벡터 OR 거리 벡터 프로토콜을 통한
- 외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자율 시스템 사이에서
트래픽을 교환할 목적으로 인터넷에 쓰임.
AS(Autonomous System)
인터넷에 대한 라우팅 정책을
대표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자의 통제 하에서
각기 연결된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 접두사의 모임이다.
- 인터넷은 ISP의 라우팅 정책만을 주시한다.
- 인터넷이 주시하는 ISP는
공식적으로 등록된
(ASN, 자율 시스템 번호)를 소유하고 있다.
2007년까지 16비트였다가 -> RFC 4893에서 32비트의 AS 번호 도입.
IGP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은
1개의 라우팅 도메인 안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한다.
EX ) OSPF, RIP, IS-IS, EIGRP
IGRP
Cisco 사에서 발명한
거리 벡터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
자율 시스템 내 라우팅 데이터를 교환할 목적으로
라우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대역폭 , 지연, 부하 MTU, 신뢰성을 포함하여
개별 경로에 여러 개의 메트릭을 지원하며
2개의 경로를 비교할 때, 이 메트릭들은
미리 설정된 상수들을 사용해서 수정할 수 있는 공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메트릭으로 병합된다.
EIGRP(구 IGRP)
IGRP 업그레드 버전.
IGRP에서 고려했던
대역폭, 처리 능력도 이용할 뿐 아니라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경 후 생기는
불안정한 라우팅을 최소화하는
고급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EIGRP를 지원하는 라우터들은
EIGRP를 지원하는 라우터들은
IGRP의 이웃 장비들에게 경로 정보를 자동으로 재분배한다.
이 때 사용되는 라우팅 최적화 기법은 대부분
SRI사의 확산 업데이트 알고리즘의 처리 기반이다.
(SRI , 미국의 비영리 과학 연구소 및 기관
생물의학, 화학, 재료, 컴퓨팅, 국방 , 우주, 환경기술 등...)
라우팅에 필요한 테이블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라우팅 테이블 : 모든 목적지에 대한 실제 경로를 저장
- 이웃 테이블 : 이웃 라우터들에 대한 데이터 저장
- 토폴로지 테이블
목적지 : passive(라우팅이 안정적이고 라우터는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알고 있음)
active(토폴로지가 변경되어 라우터가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 있음)
로 표시된다.
이 때 사용되는 라우팅 최적화 기법은 대부분
SRI사의 확산 업데이트 알고리즘의 처리 기반이다.
(SRI , 미국의 비영리 과학 연구소 및 기관
생물의학, 화학, 재료, 컴퓨팅, 국방 , 우주, 환경기술 등...)
라우팅에 필요한 테이블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라우팅 테이블 : 모든 목적지에 대한 실제 경로를 저장
- 이웃 테이블 : 이웃 라우터들에 대한 데이터 저장
- 토폴로지 테이블
목적지 : passive(라우팅이 안정적이고 라우터는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알고 있음)
active(토폴로지가 변경되어 라우터가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 있음)
로 표시된다.
EGIRP는
6개의 서로 다른 벡터 메트릭을
개별 경로에 연합시킨다.
컴포지트 메트릭 계산 시 벡터 메트릭 6개 중, 5개를 고려한다.
개별 경로에 연합시킨다.
컴포지트 메트릭 계산 시 벡터 메트릭 6개 중, 5개를 고려한다.
1. Bandwidth(대역) : 라우터의 경로에서 목적지 망에 이르는 최소 대역(kbit/s)
2. Load(부하) : 1~255까지의 수
3. Delay: 라우터의 경로에서 목적지 망에 이르는 최대 지연 수
4. MTU : 최소 경로의 최대 전송 단위(메트릭 계산에는 쓰이지 않으나 조건으로 쓰임)
5. Hop Count : 홉의 개수. 원격 네트워크에 라우팅할 때 패킷이 통과하는 라우터 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