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 AS, IGP, IGRP, EIGRP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 간 통신 방식을 규정하는 통신 규약.
다음 3가지 클래스가 IP 네트워크에 널리 사용된다.
- 링크 스테이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한
- 경로 벡터 OR 거리 벡터 프로토콜을 통한
- 외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자율 시스템 사이에서
트래픽을 교환할 목적으로 인터넷에 쓰임.
AS(Autonomous System)
인터넷에 대한 라우팅 정책을
대표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자의 통제 하에서
각기 연결된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 접두사의 모임이다.
- 인터넷은 ISP의 라우팅 정책만을 주시한다.
- 인터넷이 주시하는 ISP는
공식적으로 등록된
(ASN, 자율 시스템 번호)를 소유하고 있다.
2007년까지 16비트였다가 -> RFC 4893에서 32비트의 AS 번호 도입.
IGP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은
1개의 라우팅 도메인 안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한다.
EX ) OSPF, RIP, IS-IS, EIGRP
IGRP
Cisco 사에서 발명한
거리 벡터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
자율 시스템 내 라우팅 데이터를 교환할 목적으로
라우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대역폭 , 지연, 부하 MTU, 신뢰성을 포함하여
개별 경로에 여러 개의 메트릭을 지원하며
2개의 경로를 비교할 때, 이 메트릭들은
미리 설정된 상수들을 사용해서 수정할 수 있는 공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메트릭으로 병합된다.
EIGRP(구 IGRP)
IGRP 업그레드 버전.
IGRP에서 고려했던
대역폭, 처리 능력도 이용할 뿐 아니라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경 후 생기는
불안정한 라우팅을 최소화하는
고급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