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 프레임워크에서의 직렬화, 비직렬화

직렬화/비직렬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프레임워크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프로그램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로부터 컴파일 됐든
인터넷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려면
웹 생태계의 규칙을 따라야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각 언어들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프레임워크로부터 만들어지는데
이 프레임워크에서 직렬화/비직렬화 개념이 나온다.


송신자 & 수신자, 직렬화 & 비직렬화


직렬화
송신자가 객체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작업.



비직렬화
수신자가 수신한 문자열을 다시 객체로 변환하여 활용하는 작업.


여기서 송신자, 수신자는 모두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로직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는
그 언어와 프레임워크와 종속된 소스코드를 사용하는데

앞단의 웹 서버와 같은 소프트웨어나
더 멀리 있는 이기종의 장치는 이를 이해하지 못한다.

때문에 컨버팅 작업이 필요한데
이 컨버팅 작업을 직렬화/비직렬화라고 한다.



Python web application framework를 예로 들자면,


파이썬으로 로직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response 객체에 담아 반환하여 줄 때가 직렬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request 객체로 추상화될 때가
비직렬화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무진 면접 경험으로 정리하는 백엔드 (1) : 에듀 테크 기업 면접

Blogger 커스터마이징 : CSS 수정 (sticky-header)

노마드코더 개발자북클럽 Clean code TIL 6 : 6장. 객체와 자료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