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진 면접 경험으로 정리하는 백엔드 (3) : 신호 처리 서비스 기업 기술 면접
컬쳐핏 면접
이력서 기반, 자소서 기반 질문이 대부분이었음.
이전에 다녔던 회사들은 어떤 도메인의 사업을 하는 회사였는지
내 직무에서 무엇을 수행했는지 등을 가볍게 질문했다.
1. 자소서에 빠른 러닝커브를 강조해주셨는데, 그런 사례가 있는지??
-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인 gstreamer 학습과
짧은 기간내에 새 파이프라인에 대한 시연 및 프로덕션 도입을 수행한 것
2. 백엔드 개발자를 선택한 이유
- ai, 데이터 시대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 fe보다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 곳이 백엔드라고 생각해서.
3. 경쟁 제품에 대해 알아보려면 XXX엑스포를 "참관"만 해도 됐을텐데
굳이 부스로 참여한 이유는?
또 그곳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
굳이 부스로 참여한 이유는?
또 그곳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
- 경쟁자가 아닌 소비자 입장에서 듣는 피드백은 또 다르기 때문.
- 우리와 99% 똑같은 방식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프랑스 기업이 있었다.
같은 고충을 겪고 있었다. - 상대적으로 저렴한 Vision AI로만 경쟁력을 키우려고 했으나
한계가 있었기에 Depth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카메라나
센서 활용을 제안했지만 받아 들여지지는 않았다.
4. 쉬는 시간에 주로 뭐하는 지?
- 독서, 농구, 산책, 생활 운동
5.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
- 반추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 반추보다는 대처 행동으로, 행동으로 옮기려고 노력한다.
6. 휴식 기간 동안 뭐 했는지?
- Django full-stack side project를 하면서 html+css+js를 학습함.
- FE Framework로는 아직 넘어가기 전이고
Typescript를 학습한 뒤 넘어갈 예정.
7. 서비스 런칭했을 때 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는지?
human touch가 있는 사용자 군과 없는 사용자 군을 대조해 본 결과
(당연하게도) human touch가 있는 쪽이 행동 활성화 지표가 높았다.
( 여기서 행동 활성화 지표는 activation 지표가 아니라
PO팀에서 정의한 사용자에게 추천된 대처 행동을 실행한 비율임. )
XXX학회에 참가해서 디지털 프로덕트로 우울을 해결하려는 기업들을 본 결과
디지털 프로덕트로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고 피벗하게 됨.
human touch가 있는 사용자 군과 없는 사용자 군을 대조해 본 결과
(당연하게도) human touch가 있는 쪽이 행동 활성화 지표가 높았다.
( 여기서 행동 활성화 지표는 activation 지표가 아니라
PO팀에서 정의한 사용자에게 추천된 대처 행동을 실행한 비율임. )
XXX학회에 참가해서 디지털 프로덕트로 우울을 해결하려는 기업들을 본 결과
디지털 프로덕트로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고 피벗하게 됨.
8. 어떻게 이전 회사들과 헤어지게 되었는지 (퇴사 사유)
- 피벗팅
- 부서 폐지로 인한 권고사직
-> Vision AI 제품 부진
- 피벗팅
- 부서 폐지로 인한 권고사직
-> Vision AI 제품 부진
8.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아쉬웠던 것
기존 서비스 기능을 확장해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결제, 커머스 기능도 넣고 싶었지만
못하게 되어서 아쉬웠음.
기존 서비스 기능을 확장해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결제, 커머스 기능도 넣고 싶었지만
못하게 되어서 아쉬웠음.
댓글
댓글 쓰기